3 분 소요

블룸 택소노미와 DOK, 음악 교육의 가치를 번역하는 도구

음악 교사들은 어떻게 비전공 관리자에게 음악 교육의 학문적 깊이를 증명할 수 있을까요? 이 연구는 블룸 택소노미와 웹의 지식의 깊이(DOK)를 ‘번역 도구’로 활용하여, 음악 교육의 학문적 엄격성을 교육학적 언어로 소통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합니다.


1. 연구의 목적 (Purpose of the Study)

이 연구는 음악 교사들이 마주하는 현실적인 문제, 즉 비음악 전공자인 학교 관리자에게 음악 교육의 학문적 엄격성(academic rigor)을 입증하고 소통해야 하는 어려움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를 위해, 교육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블룸의 택소노미(Bloom’s Taxonomy)웹의 지식의 깊이(Webb’s Depth of Knowledge)라는 두 가지 교육 목표 분류 체계를 활용합니다.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 목록을 통해 음악 교사들이 자신의 수업 목표를 비음악 전공 관리자들도 이해할 수 있는 교육학적 언어로 번역하여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음악 교과의 학문적 가치를 입증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이미지

2. 연구의 방법 (Methodology)

본 연구는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 방법을 사용했으며,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진행되었습니다.

  • 동사 추출: 1994년 국가 음악 교육 기준(National Music Standards)과 2014년 핵심 예술 교육 기준(Core Arts Standards)에서 핵심적인 동사(verbs)동사구(verb fragments)를 추출했습니다.
  • 비교 및 분류: 추출된 음악 관련 동사 목록을 기존에 개발된 ‘블룸의 택소노미 동사 목록’과 ‘웹의 지식 심도(DOK) 정렬 도구’와 비교했습니다.
  • 목록 생성: 이 비교 분석을 통해, 추출된 음악 교육 동사들을 블룸의 6단계(기억, 이해, 적용, 분석, 평가, 창조)와 웹의 4단계(회상, 개념/기술, 전략적 사고, 확장된 사고)에 따라 재분류하여 총 4개의 표(Table)로 정리했습니다.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3. 주요 발견 (Key Findings)

음악 교육 기준의 동사들을 블룸과 웹의 틀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중요한 통찰과 잠재적 문제점들이 발견되었습니다.

  • 연주(Performance)의 복합성: 연주는 단순히 악보를 재현하는 낮은 수준의 기술을 넘어, 음악적 결정을 정당화하고 자신만의 프레이징을 창조하는 등 블룸 분류의 최상위 단계인 평가와 창조 수준에 해당하는 고차원적 사고 능력을 요구합니다.
  • 창조(Create)의 다른 의미: 일반 교과와 달리 음악 교육, 특히 합주 수업에서는 기존 곡을 재창조(re-creation)하는 것에 중점을 둡니다. 연주자가 자신만의 해석을 고안(devise)하고 종합(synthesize)하는 과정 역시 ‘창조’ 수준의 활동으로 보아야 합니다.
  • 음악 고유 동사의 존재: 즉흥연주(improvise)와 같은 음악 고유의 동사는 일반 목록에는 없지만, 그 본질은 블룸의 최상위 단계 동사인 ‘구성하다(construct)’, ‘창조하다(create)’ 등과 동일한 인지 과정을 요구합니다.
  • 인지적 영역의 한계: 음악은 앎(인지), 행함(심동), 느낌(정의)이 통합된 활동이기에, 블룸의 인지적 영역만으로 음악 교육의 본질을 온전히 담아내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4. 결론 및 시사점 (Conclusion & Implications)

결론적으로, 블룸의 택소노미와 DOK는 음악 교육의 학문적 엄격성을 설명하는 유용한 번역 도구가 될 수 있지만, 기계적으로 적용할 경우 번역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적극적인 번역가 역할 수행: 음악 교사들은 즉흥연주가 왜 ‘창조’ 수준의 활동인지와 같이, 음악 고유의 활동이 어떤 고차원적 사고를 포함하는지를 관리자에게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번역해 주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 맥락의 중요성: 동사 자체보다 그 동사가 어떤 맥락에서 어떻게 가르쳐지는지가 학문적 엄격성을 결정하는 더 중요한 요소일 수 있습니다.
  • 전인적 교육 옹호: 음악 교육이 인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정의적(affective), 심동적(psychomotor) 영역의 발달에 기여하는 전인적 교육임을 지속해서 옹호해야 합니다.


5. 리뷰어의 생각 더하기 (ADD+ One)

(1) 이 연구의 탁월한 점 (강점)

  • 지극한 현실성과 실용성: 현장 교사들의 현실적인 고민인 ‘어떻게 우리의 전문성을 설명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답하며, 바로 활용 가능한 ‘동사 번역표’라는 구체적인 결과물을 제시한 점이 매우 가치 있습니다.
  • 균형 잡힌 시각: 블룸과 웹의 이론을 무조건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음악 교육의 특수성을 고려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오용과 한계를 비판적으로 함께 조명함으로써 깊이 있는 성찰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2) 교육 현장을 위한 추가 제언

  • 수업 디자인 나침반으로 활용하기: 이 동사 목록을 교사 스스로 자신의 수업을 설계하고 성찰하는 ‘수업 자가 진단 도구’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나는 학생들을 주로 낮은 사고 수준에만 머물게 하는가?’를 점검하는 것입니다.
  • 학생과 함께 목표 언어 공유하기: “오늘 우리는 단순히 노래를 따라 부르는 것(모방)을 넘어, 우리만의 표현을 고안(창조)해 볼 거야” 와 같이 학습 목표의 인지적 수준을 학생들과 공유하여 메타인지를 자극하고 학습의 목적의식을 높일 수 있습니다.


6. 추가 탐구 질문 (Further Research Questions)

  • 이 연구에서 제시된 동사 목록을 활용한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 변화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가 가능할 것입니다.
  • 음악 교육의 정의적(affective), 심동적(psychomotor) 영역에 대한 블룸의 택소노미를 적용한 동사 번역표 개발은 의미 있는 후속 연구가 될 것입니다.
  • 음악뿐만 아니라, 미술, 체육, 무용 등 다른 예체능 교과에 이 연구의 방법론을 확장 적용하는 비교 연구도 가능할 것입니다.

출처: Branscome, E. E., & Robinson, E. C. D. (2017). Lost in translation: Bloom’s taxonomy and Webb’s depth of knowledge applied to music standards. Visions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30, Article 4. https://opencommons.uconn.edu/vrme/vol30/iss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