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분 소요

[심리적 안전감 시리즈 2] 심리적 안전감 공학(Psychological Safety Engineering)

스캐폴딩은 단순히 학습 내용을 지원하는 교육적 기법을 넘어, 안전하고 구조화된 상호작용 환경을 구축하는 ‘심리적 안전감 공학(psychological safety engineering)’의 관점에서 재해석될 수 있다.

잘 설계된 스캐폴딩은 학생들이 대인 관계적 위험을 느끼지 않고 피드백에 참여할 수 있는 예측 가능하고 지지적인 틀을 제공합니다.

🏗️ 심리적 안전감 구축을 위한 스캐폴딩 전략

  • 명확한 기대 설정
    • 명확한 가이드라인, 루브릭, 그리고 학습 목표를 제공하는 것이 첫걸음입니다. 이는 모호함과 불안감을 줄여주며,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위한 공통의 언어와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학생들은 무엇을, 어떻게 피드백해야 하는지 알 때 더 자신감을 갖고 과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모델링과 연습
    • 교사는 효과적인 피드백과 비효과적인 피드백의 사례를 명시적으로 모델링해야 합니다. 특히 중요한 것은 성장 마인드셋을 가지고 피드백을 수용하는 과정을 직접 보여줌으로써, 비판을 받는 상황의 취약성을 정상적이고 학습적인 과정으로 인식시키는 것입니다.
  • 안전한 상호작용을 위한 구조화된 프로토콜
    • 구체적인 이름이 붙은 프로토콜을 도입하는 것은 비구조적이고 불안을 유발할 수 있는 대화를 생산적이고 안전한 대화로 전환시킬 수 있습니다.


📜 5가지 상호작용 프로토콜 예시

  1. SPARK 모델 (Specific, Prescriptive, Actionable, Referenced, Kind)
    • 이 약어는 양질의 피드백을 위한 기억하기 쉬운 체크리스트를 제공합니다. 특히 ‘Kind(친절함)’ 요소는 심리적 안전감을 유지하라는 명시적인 지침으로 작용하여, 피드백이 개인적인 공격이 아닌 건설적인 조언이 되도록 돕습니다.
  2. “Two Stars and a Wish (두 개의 칭찬과 하나의 제안)”
    • 이 프로토콜은 긍정적인 프레임을 강제하여 동료 피드백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이상적입니다. 비판이 긍정과 균형을 이루도록 보장함으로써 피드백 수용에 대한 정서적 장벽을 낮춥니다.
  3. “Plus, Minus, What’s Next (잘한 점, 아쉬운 점, 다음 단계)”
    • 단순한 판단을 넘어 실행 가능한 다음 단계를 제안하도록 유도하는 조금 더 발전된 프로토콜입니다. 이는 피드백을 발전적인 제안으로 전환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4. “Thinking Hats (생각하는 모자)”
    • 이 역할극 전략은 피드백을 비개인화합니다. 학생은 비판적인 사람이 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빨간 모자(비판적 사고)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이는 개인과 역할을 분리하여 비판을 제기하는 데 따르는 대인 관계적 위험을 크게 줄여줍니다.
  5. “C3B4ME (See 3 Peers Before Me, 나에게 오기 전에 동료 3명에게 먼저)”
    • 이 프로토콜은 지원의 중심을 교사에서 학생으로 이동시킵니다. 이는 학생들이 문제 해결의 일차적 자원으로서 동료를 신뢰하고 협력하도록 장려하며, 교사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동료 협력의 가치를 강화합니다.


🛠️ 단순한 절차를 넘어 문화로

이러한 스캐폴딩 전략들은 단순한 절차적 지침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이것들은 교실 내에 심리적 안전감과 발전적 피드백의 미시 문화를 구축하기 위한 문화적 도구상자(cultural toolkit)입니다.

비공식적 동료 그룹이 가진 기존의 신뢰와 안전감이 공식적 교실에는 부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화를 인위적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습니다.

  • ‘Two Stars and a Wish’와 같은 프로토콜은 ‘지지적 상호작용’을 교실의 기본 규칙으로 만드는 의례와도 같습니다.
  • ‘Thinking Hats’와 같은 역할극은 학생들이 개인적인 불안감에서 벗어나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역할을 통해 어려운 상호작용을 관리하도록 돕습니다.

이러한 프로토콜의 반복적인 사용은 일회성 활동을 넘어 교실의 규범과 문화로 자리 잡게 되며, 이를 통해 비공식적 피드백의 핵심 원리(지원, 대화, 안전)가 공식적인 학업 구조 내에서 정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합니다.

문화적 도구상자


참고문헌

  • Dalsgaard, C., Boie, M. A. K., & Prilop, C. N. (2025). Students’ hidden feedback literacy: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formal and informal peer feedback situations.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Advance online publication. https://doi.org/10.1080/00313831.2025.2554726
  • Edmondson, A. (1999). Psychological safety and learning behavior in work team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4(2), 350-383.
  • Edmondson, A. (2004). Learning from failure in health care: Frequent opportunities, pervasive barriers.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13(suppl 2), ii3-ii9.
  • Headington, R. (2018). Peer and self-assessment: Developing learners’ evaluative judgment through collaborative networks. In M. S. Ryan & E. C. Henderson (Eds.), Developing Evaluative Judgment: Assessment for Knowing and Producing Quality Work (pp. 79-89).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