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과학이 증명한 26가지 학습법
학습 과학이 증명한 26가지 학습법
‘학습과학이 알려주는 26가지 학습방법’(Daniel L. Schwartz, 2024)에서는 아이들이 즐겁게 배우고, 배운 것을 오래 기억하며, 새로운 것을 스스로 탐구하는 능력을 갖추는 실제적인 도구들을 제안합니다. 학습과학, 교육 심리학, 인지과학 분야에서 과학적으로 검증된 26가지 교수·학습법입니다.
- 각 학습 전략은 ‘어떻게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가’라는 오랜 질문에 대한 과학적 답변의 집합체입니다.
- 이 방법들의 핵심은 학습자를 질문하고 탐구하며 스스로 의미를 구성해나가는 능동적인 주체로 세우는 데 있습니다.
- 알파벳 A~Z의 순서에 따라 체계적으로 안내되어 있으며, 이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A. 유추 (Analogy)
새로운 개념의 쉬운 이해를 위해 전류를 물의 흐름에 비유하는 등 익숙한 현상에 빗대어 설명함.
B. 소속감 (Belonging)
안정적 학습 분위기 조성을 위해, 학생들과 함께 학급 규칙을 만드는 등 공동체 의식을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부여함.
C. 비교대조 (Contrasting Cases)
핵심 원리 파악을 위해, 서로 다른 두 사례(예: 광합성과 호흡)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게 함.
D. 의도적 연습 (Deliberate Practice)
실질적 실력 향상을 위해, 자신의 약점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려는 목표 지향적 연습(예: 오답노트 분석)을 강조함.
E. 정교화 (Elaboration)
깊은 이해와 장기 기억을 위해, 배운 내용을 자신만의 언어로 다시 설명하거나 기존 지식과 연결하게 함.
F. 피드백 (Feedback)
학생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잘했어”가 아닌 “이 부분은 좋았고, 이 점은 개선하면 더 좋아”와 같이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조언을 제공함.
G. 생성 (Generation)
기억의 강화를 위해, 정답을 듣기 전에 먼저 스스로 답을 예측하거나 빈칸을 채워보게 하는 등 인출 과정을 거치게 함.
H. 체험 (Hands On)
추상적 개념의 구체화를 위해, 분수 개념을 색종이 접기로 배우는 등 몸과 오감을 사용한 활동을 설계함.
I. 상상 놀이 (Imaginative Play)
인지 조절 및 문제 해결 능력 개발을 위해, 역사적 사건을 바탕으로 역할극을 하는 등 상상력을 자극하는 놀이를 활용함.
J. 적시 설명 (Just-in-Time Telling)
학습 효과 극대화를 위해, 학생이 탐구 활동을 통해 지식의 필요성을 느낀 결정적 순간에 핵심 원리를 설명함.
K. 지식 (Knowledge)
창의력의 바탕을 다지기 위해, 단편적 정보 암기를 넘어 마인드맵 등을 활용해 지식을 구조화하고 연결하게 함.
L. 듣기와 나눔 (Listening & Sharing)
학습의 사회적 확장을 위해, 짝 토론이나 모둠 토의를 활성화하여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고 함께 배우게 함.
M. 메이킹 (Making)
내재적 동기 부여와 실용 지식 습득을 위해, 배운 원리를 이용해 직접 결과물(예: 재활용품 발명품)을 만들게 함.
N. 규범 (Norms)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학습 환경 조성을 위해, 토론 규칙이나 협동 규칙 등 모두가 동의하고 지키는 규범을 함께 수립함.
O. 관찰 (Observation)
새로운 기술 및 절차 습득을 위해, 교사나 우수 동료의 문제 해결 과정 및 시범을 주의 깊게 보고 모방하게 함.
P. 참여 (Participation)
수동적 학습 태도 극복을 위해, 수업 내용을 퀴즈 게임으로 만드는 등 학생이 배움의 주체로서 직접 뛰어들게 함.
Q. 질문 주도 (Question Driven)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해, 학생 스스로 질문을 만들고 그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수업의 중심이 되게 함.
R. 보상 (Reward)
긍정적 행동 강화를 위해, 결과 중심의 물질적 보상보다 노력의 과정을 칭찬하는 등 내적 동기를 유발하는 보상을 활용함.
S. 자기설명 (Self-Explanation)
메타인지 능력 향상을 위해, 문제 풀이 과정이나 개념을 소리 내어 스스로에게 설명하며 자신의 이해도를 점검하게 함.
T. 가르치기 (Teaching)
가장 확실한 학습 방법으로, 또래 교사 활동 등 다른 사람에게 배운 내용을 직접 가르쳐볼 기회를 제공함.
U. 바로잡기 (Undoing)
뿌리 깊은 오개념을 효과적으로 수정하기 위해, 토론이나 반증 실험을 통해 학생 스스로 자신의 생각이 틀렸음을 깨닫게 함.
V. 시각화 (Visualization)
복잡한 정보의 이해와 기억을 돕기 위해, 텍스트 내용을 인물 관계도, 다이어그램, 연표 등으로 구조화하여 표현하게 함.
W. 풀이된 예제 (Worked Examples)
전문가의 사고 과정 학습을 위해, 잘 풀이된 예제를 단계별로 제시하고 그 과정을 따라 하거나 일부를 채워보게 함.
X. 흥분 (eXcitement)
학습 몰입도와 주의력 향상을 위해, 수업 도입부에 호기심을 자극하는 퀴즈나 영상을 제시하여 긍정적 긴장감을 유발함.
Y. 자기효능감 (Yes I Can)
도전적인 과제 수행을 위해, 학생의 현재 수준보다 약간 높은 과제를 제시하여 작은 성공 경험을 꾸준히 쌓게 함.
Z. 수면 (Zzzs)
학습 내용의 장기 기억 저장을 위해, 밤샘 공부의 비효율성을 알리고 충분하고 규칙적인 수면의 중요성을 강조함.
이 전략들은 지식이해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과정기능, 가치태도까지 포섭하며, 몸-마음-환경을 아우릅니다. 26가지 전략을 단순히 목록으로만 여기기보다, 학습의 목표와 내용, 학생의 특성에 맞게 여러 전략을 유기적으로 조합하고 응용하는 교육 설계자, 교육 개발자로서의 지혜가 필요합니다.
출처: Daniel L. Schwartz, Jessica M. Tsang, Kristen P. Blair. (2024). 학습과학이 알려주는 26가지 학습방법. 박영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