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 소요

AI 디지털 기반 교육 혁신에서 ‘화수분’의 문화를 기대하는 이유

우리가 전문적 학습공동체 또는 커뮤니티라 불리는 곳에 왜 참여하는가?에 대한 답을 생각해보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입니다.

교육의변화

교육 변화의 세 가지 조건

교육의 변화는 다음 세 가지 요소의 변화를 동시에 수반합니다.

  1. 새로운 교육자료
  2. 새로운 교수학습법
  3. 그 기저에 깔린 이론 내지 가설, 즉 신념의 변화

이 세 가지가 동시에 작동해야 의미있는 변화를 비로소 만들기 시작합니다(Fullan, 2017). AI 디지털 기반의 교육혁신 정책은 놀랍게도 이 세 가지 요소의 변화를 갖추고 있었고, 분명 설계와 계획단에서 변화의 핵심 프로세스가 반영되어 있었습니다.

계획을 넘어선 실행의 영역: 문화와 관계

한편 구조 및 정책과는 달리 실행은 문화와 사람 간의 관계의 문제이기에 또 다른 차원입니다. 계획을 세우는 일만큼이나 실행을 위해서는 모니터링과 많은 보완적 노력이 필요합니다. 대상이 대규모의 교육자인 경우에는 더욱 그러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정책의 언어를 현장과 실천의 언어로 번역하는 역할을 포함한, 사람들 간의 연결과 협력을 견인하는 자발적 내부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교육자에게 내적 만족감과 효능감을 주는 것의 열쇠는 상호 신뢰에 기반한 공동 학습에 있습니다. 실천이 전제된 학습하는 문화를 통해 개인적으로 발견해나가는 주관적 의미들, 그리고 서로의 지식과 경험을 기반으로 공유(합의)된 의미를 구성해가는 과정이 교육 변화의 핵심입니다.

단기적 성과주의의 함정

어느 순간부터 교육을 예능프로그램이나 하나의 단발성 이벤트와 같은 호흡이 짧은 보여주기식 장면들로 접근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극적이고 단기성과에 따른 평가와 인센티브, 초점을 잃은 예산의 대량 편성과 지원은 짧게는 쉽고 달콤하지만 잘못된 동인이 될 위험이 있습니다.

지속가능성의 열쇠: ‘화수분’ 시스템과 문화

공동의 학습 문화와 여기에서 파생되는 새로운 의미들을 구성원들이 만들어가는 여정들이 동시다발적으로 필요합니다.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여정은 곧 이러한 여정 그 자체입니다.

교육 변화와 혁신을 조망하는 다양한 관점들이 있습니다. 그 중 교육자들에게는 교수학습방법과 그 사례를 살피는 접근이 우세합니다. 물론 수업의 변화는 정중앙에 있으며 그 중의 핵심입니다. 그러나 일시적인 ‘나’와 ‘너’의 수업 변화가 지속가능한 ‘우리’의 교육 변화와 혁신을 담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포츠에서도 지속적으로 강팀이 되는 비결은 FA에서 검증된 선수들을 100억에 사오는게 아니라, 화수분같이 유망주들을 계속 길러낼 수 있는 시스템, 문화, 철학을 갖추는 일입니다.

문화는 잘 짜여진 계획이 아니라 실천의 발자국들이 모여 공유되고, 수렴 합의되어 모두의 사고와 행동방식에 부드럽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압력(Pressure)이자 프로그램(Program)입니다.

결론: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진정한 의미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의 흐름에서 주관적 의미와 공유된 의미의 생성, 문화와 관계 기반 접근을 제일 첫째로 중시한 적은 아직 없었습니다.

지속가능한 패러다임 변화의 키는 사례 중심의 접근 뿐 아니라, 역량 중심의 접근에 있고, 내적 역량 신장의 과정을 어떻게 시스템화할 것인가에 달려있습니다.

이 고민의 해답 언저리에 공동 학습 집단으로서의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효용과 의미가 존재할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