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분 소요

“어떻게 하면 AI를 학생들의 사고력을 키우는 최고의 파트너로 만들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단순히 AI의 기술적 기능에만 주목할 것이 아니라 인간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인간의 사고를 설명하는 두 가지 유력한 이론, ‘이중 과정 이론(Dual Process Theory)’‘인지 연속체 이론(Cognitive Continuum Theory)’을 통해 그 힌트를 얻어보겠습니다.


1. 직관 vs. 분석: 두 개의 생각 시스템

이중 과정 이론(Dual Process Theory)에 따르면 우리의 머릿속에는 두 가지 생각 시스템이 공존합니다.

🧠 시스템 1 (직관적 사고)

빠르고 자동적이며, 거의 힘이 들지 않는 생각입니다. 운전 중 익숙한 길을 가거나, 친구의 얼굴을 즉시 알아보는 것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일상에서는 매우 효율적이지만, 때로는 편견에 휘둘려 실수를 낳기도 합니다.

DPT

🤔 시스템 2 (분석적 사고)

느리고 신중하며, 많은 노력이 필요한 논리적인 생각입니다. 복잡한 수학 문제를 풀거나, 여러 자료를 비교하며 보고서를 작성하는 경우가 그렇습니다. 힘들지만 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결론에 이르게 합니다.

많은 UX 디자인이 이 이론에 기반합니다. 사용자가 편안하게 느끼도록 시스템 1에 맞춰 인터페이스를 직관적으로 만들고, 중요한 결정을 할 때는 시스템 2가 작동하도록 돕는 식이죠.


2. 생각은 하나의 다채로운 스펙트럼

하지만 우리의 생각이 정말 ‘직관’ 아니면 ‘분석’으로만 나뉠까요? 인지 연속체 이론(Cognitive Continuum Theory)은 좀 더 유연한 관점을 제시합니다.

  • 우리의 사고가 두 개의 분리된 상자가 아니라, 순수한 직관에서 순수한 분석에 이르는 하나의 거대한 스펙트럼(연속체) 위에 존재한다고 봅니다.
  • 가장 중요한 핵심은, 우리가 이 스펙트럼 위 어디쯤에서 생각할지는 우리가 마주한 ‘과제의 성격’에 달려있다는 것입니다.
  • 비구조적 과제 (정보가 부족하고 정답이 없는 문제)는 우리의 직관적 사고를 자극합니다.
  • 잘 구조화된 과제 (규칙이 명확하고 데이터가 풍부한 문제)는 분석적 사고를 이끌어냅니다.
  • 훌륭한 문제 해결사는 이 양극단을 유연하게 오가는, 즉 ‘진동(oscillation)’ 하는 능력을 갖춘 사람입니다.

Comparison

3. AI 교육 설계, 왜 ‘연속체’ 이론이 더 중요할까?

이분법적 사고에만 머무르면, AI는 정보 처리(시스템 1)를, 인간은 분석(시스템 2)을 담당하는 단순한 역할 분담에 그칠 수 있습니다.

만약 AI가 항상 빠르고 그럴듯한 답변만 제공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학생들은 굳이 힘들게 스스로 분석하고 추론하는 과정을 거치려 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는 효과적인 문제 해결에 필수적인 ‘진동’ 능력을 저해하는 ‘인지적 고착’ 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편리함이 오히려 고차원적 사고 능력의 발달을 막는 역설이 발생하는 것이죠.

효과적인 교육용 AI는 과제의 성격에 맞춰 유연하게 역할을 바꾸는 ‘지능형 조력자’가 되어야 합니다.

  • 🎨 비구조적 과제 (창의적 글쓰기, 브레인스토밍 등)
    • AI는 인간의 직관을 자극하고 영감을 주는 파트너 역할을 해야 합니다.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생각의 확장을 돕는 것이죠.
  • 💻 잘 구조화된 과제 (코딩, 데이터 분석 등)
    • AI가 논리적 오류를 점검하고, 분석 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튜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4. 리뷰어의 정리

  • 비구조화된 과제일수록 AI는 직관적 사고를 지원하고, 구조화된 과제일수록 AI는 논리적, 분석적 사고를 지원하여 학습자의 인지적 ‘진동’을 도와야 합니다.
  • 결국 ‘어떤 성격의 과제 환경을 제공할 것인가’ 하는 교육자의 교육적 설계와 의도가 핵심입니다.
  • 과제와 AI 도구 지원의 목적은 학생이 최적의 인지 모드를 찾도록 돕는 데 있습니다.
  • 앞으로는 과제 환경 외 다양한 변인을 고려하여, 더 구체적인 상황에 맞는 인지이론들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참고문헌

  • Cader, R., Campbell, S., & Watson, D. (2005). Cognitive continuum theory in nursing decision-mak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9(4), 397-405.
  • Evans, J. St. B. T., & Stanovich, K. E. (2013). Dual-process theories of higher cognition: Advancing the debate.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8(3), 223-241.
  • Hammond, K. R. (1996). Human judgment and social policy: Irreducible uncertainty, inevitable error, unavoidable injustice. Oxford University Press.